제1장 미션
제1.1조 인간 존중의 혁신적 연구 개발 수행
휴랩은 인공지능(AI)과 디지털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인간과 지구 존중의 혁신적 연구 개발을 지향한다.
당사의 사명인 휴랩(HuLab)은 Human Laboratory의 약자로, 초유의 초고령, 초연결, 저성장 시대를 맞아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지자체, 산업체, 교육기관 및 연구소 등 지역 사회와 공동으로 노력하여 인류 보편적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되기 위한 목표를 추구함으로써 소셜 벤처로 성장 발전함을 도모한다.
이를 통해 사회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써 지속가능 발전과 삶의 질 제고에 이바지하고자 한다.
제1.2조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 선도
휴랩은 2026년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의 전국 확산에 일조하고자 인공지능(AI) 기술을 응용해
의료, 복지, 돌봄 등 재가 요양 서비스 공급자들의 업무 생산성 확대 및 수요자들의 소비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.
이를 토대로 재가 요양 서비스 공급 및 수요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로 확대 발전함을 통해 커뮤니티 케어 서비스를 선도하는 등 국가적 공공 서비스 확충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.
이와 함께 대정부 역로비를 통해 우리의 노력이 급증하는 장기요양비용의 절감과 고령자의 존엄성 제고에 실제적 기여가 될 수 있음을 홍보한다.
제2장 사회 경제적 성과 측정 및 보고 체계
제 2.1 조 사회 경제적 성과 측정 및 보고 체계 확립
휴랩이 제공하는 재가 요양 서비스 수급 플랫폼 제품 및 서비스를 활용하여 업무 생산성 향상 및 수요 만족도 제고 성과를 지표를 통해 측정하고 보고한다.
① 플랫폼 서비스 매출액 증가 등의 플랫폼 제품 및 서비스 매출액: B2G, B2B, B2C
기대효과: 커뮤니티 케어 확대에 소셜 벤처의 역할의 중요성과 자생할 수 있음을 천명하고자 하며 이와 더불어 돌봄, 복지 중심의 케어 서비스에서 의료의 역할을 보다 용이하게 확대·융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.
측정방법: 연도별 매출액 측정하여 비교
결과보고: 연 1회 매출액 변화 추이 내부 평가 및 보고
② 서비스 제공자 업무 생산성 증가: 재가 요양 서비스 수급 플랫폼 제품 및 서비스 제공자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변화 측정
기대효과: 동일한 예산 범위 내에서 동일한 공급자만으로도 더 많은 수요자를 케어할 수 있음과 수요자로 하여금 여타 통합 서비스의 활용 및 이에 대한 정보를 확대 제공할 수 있는 여유를 마련함으로써 커뮤니티 케어 전국 확산에 따른 비용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.
측정방법: 서비스 제공자(사회복지사, 생활지원사, 간호사, 코디네이터 등) 업무 효율 및 생산성 측정 설문 조사 플랫폼에서 자동 조사 시행 및 분석
결과보고: 연 1회 제공자 생산성 변화 추이 내부 평가 및 홈페이지 통한 보고 발표
③ 서비스 수요자 만족도 증가: 재가 요양 서비스 수급 플랫폼 제품 및 서비스 수요에 따른 만족도 및 삶의 질 변화 분석
기대효과: 현실적으로 연 1~2회로 제한된 케어 플랜 수립 주기를 확대함으로써 급변하는 재가 노인 수요변화를 실제 플랜에 반영하도록 할 뿐 아니라 제공된 서비스의 만족도를 반영함으로써 추후 제공될 서비스의 개선을 이끌 수 있어 커뮤니티 케어 정책의 효과성 강화에 도움을 준다. 이와 함께 신규 케어 플랜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을 기대할 수 있다.
측정방법: 케어 제공자(사회복지사, 생활지원사, 코디네이터 등)에 의한 서비스 수요자 만족도 측정 설문 조사 플랫폼에서 자동 조사 시행 및 분석
결과보고: 연 1회 수요자 만족도 변화 추이 내부 평가 및 홈페이지 통한 보고 발표